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행복한 왕자”(The Happy Prince) -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by 이삭44 2025. 4. 12.
728x90

행복한 왕자”(The Happy Prince) -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너는 옳은 선택을 하였다. 내 낙원의 정원에서 이 작은 새는 영원히 노래하리라. 그리고 나의 황금 도시에서 행복한 왕자는 나를 찬양하리라."

(You have rightly chosen. For in my garden of Paradise, this little bird shall sing for evermore, and in my city of gold the Happy Prince shall praise me.)

오스카 와일드
오스카 와일드

들어가는 말

 

세상의 아름다움은 때로 가장 조용한 희생 속에서 피어난다. 눈부신 금빛 조각상으로 도시를 굽어보는 '행복한 왕자'와 따뜻한 남쪽을 향해 날아가던 한 마리 제비의 만남은 우리에게 진정한 사랑과 나눔, 그리고 인간다움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오스카 와일드는 재치 있는 언어와 우아한 문체, 그리고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로 잘 알려진 작가다. 그러나 행복한 왕자는 그의 작품 중에서도 특별하다. 이 짧은 우화는 마치 어른을 위한 동화처럼 겉으로는 단순한 이야기지만 그 안에는 슬픔과 아름다움, 정의와 연민의 무게가 고요히 담겨 있다. 이 책을 여는 순간 우리는 찬란한 겉모습 아래 감춰진 진실을 보게 되고 주는 사랑이 얼마나 고귀한지를 배운다. ‘행복이라는 단어가 진정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오스카 와일드는 이 작은 이야기 속에서 우리에게 묻고 또 가르친다.

 

1. 저자,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1854. 10. 16 1900. 11. 30)

 

오스카 와일드는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부유한 안과 의사였고 어머니는 성공한 작가이자 아일랜드 민족주의자였다. 특히 부친인 윌리엄 와일드는 여왕의 주치의로 임명받은 바 있었으며 센서스 작성에 공헌해 작위도 수여받은 인물이었다. 오스카 와일드 본인도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문학과 예술에서 고귀한 이름을 물려받았다며 무척 자랑스러워했다.

 

그는 9살 때까지 가정 교육만 받다가 1864년에 포토라 왕립학교에 진학해 1871년에 졸업했다. 이후 1874년까지는 더블린에서 고전문학을 공부했다. 평소 성격이 아주 게을렀으나 고전학 성적만큼은 아주 좋았다. 1874년에 오스카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모들린 칼리지에 입학해 고대 언어를 배웠다.

 

한동안 미술 평론가로 지내던 와일드는 런던과 파리 등지에서 유미주의에 중점을 두는 미학 강연을 시작했다. 그의 모피 코트, 네로 스타일의 머리, 문학적인 달변은 상당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켜 상류층의 관심을 끌었다. 이러한 성공은 뉴욕 진출로 이어졌다.

 

1881년에 낸 첫 시집을 통해 작가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는 데 성공한 와일드는 1887년에는 소설가로 데뷔해 캔터빌의 유령아서 새빌경의 범죄를 출판했다. 1890년에 장편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1891살로메를 쓰는 등 걸작을 거듭해서 내놓았다. 이즈음에 런던 사교계는 오스카를 모시는 것을 영예로 여겼다. 당시 웨일스 공의 자리에 있던 에드워드 7세조차 오스카 와일드를 만나고 싶어 했을 정도였다.

 

와일드는 트리니티 칼리지(더블린)에서 고전문학을 공부한 뒤 옥스퍼드 대학교의 모들린 칼리지(Magdalene College)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학업을 이어갔다. 옥스퍼드 재학 시절부터 '()'를 최고의 가치로 삼는 유미주의(Aestheticism) 운동에 깊이 빠졌고 특유의 화려한 언변과 복식으로 주목받았다. 오스카 와일드는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지만 특히 희곡과 풍자, 그리고 우화로 유명하다.

행복한 왕자와 다른 이야기들”(The Happy Prince and Other Tales, 1888)은 어린이를 위한 우화집이지만 성인 독자들에게 더 깊은 울림을 주는 도덕적·사회적 메시지를 품고 있다.

 

희곡들로는 윈더미어 부인의 부채”(Lady Windermere’s Fan, 1892), “진지함의 중요성”(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1895)은 와일드 특유의 재치와 역설, 사회 풍자가 절정에 이른 작품이다.

 

와일드는 1895년 당시로서는 범죄였던 동성애 혐의로 기소되었고 2년간의 중노동형을 선고받았다. 이 시기에 그는 레딩 감옥에서 보낸 편지”(De Profundis)를 집필하며 자신의 내면과 고통, 신앙에 대한 고백을 담았다. 출소 후에는 영국을 떠나 프랑스 파리에서 은둔 생활을 하다 가난과 질병 속에서 46세로 생을 마감했다.

 

오스카 와일드는 탁월한 언어 감각과 재치로 풍자와 역설을 구사하며 빅토리아 시대 사회의 위선을 비판하였다. 그는 유미주의자(Aesthete)로 비극적인 천재였다. 사후 그의 작품과 정신은 다시 조명되었고 오늘날에는 19세기 최고의 극작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파리의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그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시가 새겨져 있다.

"And alien tears will fill for him

Pity’s long-broken urn,

For his mourners will be outcast men,

And outcasts always mourn.“

"그를 위해 낯선 이들의 눈물이

오래전에 깨어진 연민의 단지를 채우리니,

그를 애도할 자들은 세상의 버림받은 이들이며,

버림받은 이들은 늘 애도하노라."

(The Ballad of Reading Gaol 중에서)

 

2. 저작 동기

 

오스카 와일드의 동화 행복한 왕자“(The Happy Prince)1888년에 출간된 그의 동화집 ”The Happy Prince and Other Tales“에 수록된 대표작이다.

 

와일드는 두 아들(시릴과 비비언)을 위해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을 좋아했고 아이들에게 도덕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직접 동화를 쓰기 시작했다. ”행복한 왕자는 이와 같은 부성애에서 비롯된 작품이다.

 

와일드는 빅토리아 시대의 심각한 빈부격차와 사회 불평등에 깊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행복한 왕자동상은 겉은 아름답지만 실제로는 고통받는 가난한 사람들을 외면했던 권력과 부유층의 허상을 상징한다. 이 작품은 겉모습의 화려함 뒤에 숨겨진 인간의 이기심과 무관심을 비판하고 희생과 사랑의 진정한 가치를 조명한다.

 

이야기 속 제비와 왕자의 관계는 무조건적인 희생과 사랑을 상징하며 와일드의 도덕적·영적 관심이 드러난다. 특히 기독교적 이상인 최후의 자가 첫째가 되고, 첫째가 마지막이 되는가치가 잘 반영되어 있다. 와일드는 단순한 동화 이상의 도덕적 메시지를 담은 우화로 이 작품을 구상했다.

 

당시 와일드는 사회적으로는 성공한 인물이었지만 내면적으로는 정체성과 도덕성에 대한 갈등을 겪고 있었다. ‘행복한 왕자처럼 겉은 화려하지만 속은 고통스러운 존재로 자신을 투영했을 가능성도 있다.

 

행복한 왕자는 와일드가 자녀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이자 당시 사회의 위선과 부조리를 고발하고 진정한 사랑과 희생의 가치를 강조하기 위한 도덕 우화다.

 

3. 시대적 배경

 

행복한 왕자“(The Happy Prince)의 시대적 배경은 작품이 발표된 19세기 후반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사회이다. 이 시대는 와일드의 생애와도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 작품이 탄생하게 되었다.

 

1) 19세기 후반 빅토리아 시대(1837-1901)

 

이 시기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통치 기간으로 행복한 왕자1888년에 출간되었다. 이 시점은 빅토리아 시대 중후반에 해당된다.

 

2) 산업혁명 이후의 빈부격차

 

영국은 산업혁명을 거치며 세계 최강의 제국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도시 빈민층과 노동자 계급의 삶은 매우 열악했다. 일부 귀족과 상류층은 엄청난 부를 누린 반면 다수의 시민은 극심한 가난과 질병, 아동 노동에 시달렸다. ”행복한 왕자도와달라고 외치는 굶주린 소년”, “성냥 파는 여자아이”, “일 못해 해고당한 재봉사같은 인물들은 바로 이런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다.

 

3) 형식적 도덕주의와 위선

 

빅토리아 시대는 도덕과 예절, 금욕이 강조되던 시대였으나 많은 경우 위선적이고 겉치레에 불과한 도덕성이었다. 겉으로는 행복번영을 자랑하지만 실제로는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 위에 세워진 사회였다. ‘행복한 왕자동상이 겉으로는 화려한 금과 보석으로 치장되어 있지만, 정작 진짜 고통을 깨닫는 순간, 그것들을 모두 나누어주는 모습은 형식적 가치와 진정한 가치의 충돌을 상징한다.

 

4) 기독교 윤리와 사회적 책임

 

당시 영국 사회에는 기독교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고 자선과 구제도 중요한 미덕으로 여겼다. 하지만 실제로는 상류층이 가난한 이웃을 돌보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와일드는 이런 점을 비판했다. 작품의 마지막에 천사가 왕자와 제비를 가장 귀한 것이라며 천국으로 데려가는 장면은 와일드가 진정한 가치와 신의 인정을 강조하는 상징적 장치다.

 

5) 예술과 도덕의 긴장

 

와일드는 예술을 위한 예술’(Art for Art’s Sake)을 주장했던 아름다움의 철학자였지만 행복한 왕자에서는 예외적으로 도덕적 메시지를 가진 이야기를 쓴다. 이 시도는 당대 사회 문제에 대해 예술가로서의 윤리적 응답이기도 했다.

 

지고지순한 사랑 - hyoung44 페이퍼 : 유페이퍼

 

지고지순한 사랑

3천여년전 이스라엘왕 솔로몬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진짜 아기 엄마가 누구인지 찾아 주었던 ..

hyoung44.upaper.kr

 

4. 주요 캐릭터들

 

행복한 왕자”(The Happy Prince)에는 단순하지만 상징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며 각 인물은 사회적 메시지와 깊은 도덕적 의미를 담고 있다.

 

1) 행복한 왕자(The Happy Prince)

 

도시 중앙에 세워진 금으로 도금되고 보석으로 장식된 화려한 동상, 과거 생전에 궁전 안에서만 살며 고통을 몰랐기에 행복한 왕자라 불린다. 그는 현재 죽은 뒤 동상이 되어 도시를 내려다보며 사람들이 겪는 가난과 고통을 처음으로 목격하게 된다. 그는 처음엔 눈물 흘릴 줄 몰랐지만 이후 동정심과 사랑으로 자신의 몸(보석과 금)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준다. 그는 겉은 화려하지만 속은 공허한 위선적인 사회를 비판하며 눈물 흘리는 동상은 죽은 뒤에야 비로소 인간적인 감정을 가지게 된 권력자를 암시한다.

 

2) 제비(Swallow)

 

제비는 따뜻한 나라로 떠나는 도중 우연히 도시를 지나며 왕자의 동상 아래서 하룻밤 머문다. 그는 원래는 자기만 생각하는 자유로운 존재처럼 보였으나 점차 왕자의 요청에 응하며 희생적 존재로 변모한다. 제비는 왕자의 부탁으로 보석을 하나하나 운반해 가난한 사람들에게 전달한다. 결국 추운 겨울에도 떠나지 않고 헌신하다가 추위에 얼어 죽는다. 제비는 무고한 희생자, 사랑의 전달자, 순수한 봉사와 의로움의 대리자이며 종교적으로는 천사의 역할이나 예수의 제자를 상징하기도 한다.

 

3) 도시의 가난한 사람들

 

- 재봉사와 아픈 아들 : 가난으로 약도 살 수 없어 고통받는 아이와 그를 돌보는 아버지는 왕자의 루비 보석을 받아 도움을 받는다.

- 성냥 파는 여자아이 : 빵을 팔지 못해 아버지에게 맞을까 두려워 우는 소녀로 왕자의 사파이어 눈 중 하나를 받아 간다.

- 굶주린 젊은 극작가 : 벽난로도 없고 배고픔에 떨며 작품을 쓰는 가난한 시인은 왕자의 다른 눈(사파이어)을 받아 희망을 얻는다.

 

이들은 실제 19세기 도시 빈민층의 현실을 반영한 인물들로 와일드는 이 인물들을 통해 사회적 무관심과 부조리를 고발한다.

 

4) 도시 사람들 / 지도자들

 

장식이 모두 사라진 동상을 못생기고 쓸모 없어졌다며 녹여버릴 것을 명령한다. 제비는 너무 볼품없다며 쓰레기 더미에 버린다. 시청 위원회, 시장 등은 모두 겉치레와 효율만 중시하고 진정한 사랑과 희생에는 무관심하다.

위선적인 권력자들, 진짜 가치는 이해하지 못하는 세속 사회, 외면의 아름다움, 권력 중심 사고에 대한 풍자다.

 

5) 하나님과 천사

 

제비와 왕자가 죽은 뒤 하나님은 천사에게 이 도시에서 가장 귀한 두 가지를 가져오라라고 말씀하신다. 천사는 죽은 제비와 녹슬어 버린 왕자의 심장을 가져간다. 하나님은 그들을 자신의 천국에서 영원히 살게 하신다. 진정한 가치와 희생은 하늘이 기억한다는 기독교적 메시지와 인간의 눈에 무가치해 보이는 것이 신의 눈에는 가장 귀하다.

 

5. 주요 테마

 

오스카 와일드의 행복한 왕자”(The Happy Prince)는 짧지만 매우 풍부한 의미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 동화는 단순한 어린이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과 윤리적 메시지가 담겨 있다.

 

1) 이타주의와 희생(Altruism & Sacrifice)

 

이야기의 중심은 행복한 왕자제비가 자신을 희생하여 가난하고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는 과정이다. 왕자는 자신의 몸을 구성한 보석과 금박을 하나하나 떼어 불우한 이웃들에게 나누어주고 제비는 따뜻한 남쪽으로 떠나야 함에도 점점 추위에 얼어 죽을 때까지 왕자의 곁을 지킨다. 와일드는 이 이야기에서 참된 행복은 '소유'가 아니라 '나눔'에 있음을 강조한다. 이것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다.

 

2) 사회적 불평등과 무관심(Social Injustice & Indifference)

 

작품은 부유한 사람들의 무관심, 빈곤한 이들의 고통, 제도화된 위선을 정면으로 드러낸다. 왕자는 살아있을 때 궁전 안에서만 살며 사람들의 고통을 몰랐지만 조각상이 되어 도시를 내려다보며 비로소 그것을 보게된다. 도시의 지도자들과 시민들은 왕자와 제비가 희생한 뒤에도 그들의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고 조각상을 폐기해버린다. 와일드는 빅토리아 시대의 위선적이고 물질적인 가치관을 풍자하며 진정한 정의는 권력과 무관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3) 진정한 아름다움의 의미(True Beauty)

 

왕자의 금박과 보석이 벗겨져 볼품 없어진 뒤 사람들은 그를 추한 조각상이라 말하며 제거한다. 그러나 하늘에서는 그의 희생과 사랑을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칭찬한다. 외적인 아름다움보다 내면의 고귀함과 사랑이 진정한 아름다움이라는 기독교적·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4) 사랑과 우정(Love & Companionship)

 

제비는 처음엔 우연히 왕자 곁에 머물지만 점점 왕자를 이해하고 깊은 애정과 연대를 느끼며 자발적으로 헌신한다. 둘 사이의 관계는 단순한 동화 속 설정이 아닌 무조건적인 사랑과 동반 자애를 상징한다. 와일드는 사회가 배척하거나 주목하지 않는 존재들(작은 새, 낡은 조각상) 사이에서 피어나는 진정한 사랑과 연민의 가치를 강조한다.

 

5) 영원한 보상과 구원(Redemption & Eternal Reward)

 

이야기의 마지막에서 천사는 하나님께 이 도시에서 가장 귀한 두 가지로 왕자의 낡은 심장과 제비의 시신을 가져간다. 하나님은 그들을 천국에서 영원히 노래하고 찬양하게 한다. 기독교적인 구원관을 바탕으로 세상에서 소외되거나 버려진 자들이 하늘에서는 가장 고귀한 존재로 인정받는다는 신학적 주제를 담고 있다.

 

이 작품은 겉으로는 동화지만 철학적·윤리적 질문을 품은 아주 성숙한 문학이다.

 

6. 줄거리 요약

 

한 도시의 높은기둥 위에는 온몸이 금박으로 덮이고 눈에는 사파이어, 칼자루에는 루비가 박힌 아름다운 조각상 행복한 왕자가 서 있다. 살아생전 그는 궁전에서 고통을 알지 못한 채 행복하게살았으나 죽은 후 도시 위에서 사람들의 고통과 빈곤을 보게 되고 깊은 슬픔에 잠긴다.

 

어느 날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비 한 마리가 왕자 조각상 아래에서 하룻밤을 묵는다. 왕자는 제비에게 부탁하여 루비를 가난한 재봉사에게, 사파이어를 병든 소년과 가난한 극작가에게 나눠주게 한다. 처음엔 떠나려던 제비는 왕자의 선한 마음에 감동해 계속 머물며 그의 명령을 따라 금박까지 하나하나 떼어 도시의 가난한 이들에게 전달한다.

 

겨울이 깊어지고 추위가 심해지자 제비는 점점 약해진다. 마지막으로 왕자에게 입 맞춘 후 왕자의 발치에서 조용히 죽는다. 왕자의 심장은 슬픔으로 인해 갈라지고 조각상은 보잘것없는 몰골이 되어 사람들이 그를 철거한다.

 

도시의 지도자들은 왕자의 심장이 녹지 않았다며 버리지만 하늘에서 이를 지켜보던 하나님은 천사에게 이 도시에서 가장 귀한 것 두 가지를 가져오라고 하신다. 천사는 왕자의 낡은 심장과 죽은 제비를 가져오고 하나님은 그들을 천국에서 영원히 살아가게 하신다.

 

이 이야기는 사랑과 나눔, 희생의 진정한 가치를 감동적으로 전하며 외적인 아름다움보다 내면의 선함이 영원한 가치를 지닌다는 기독교의 깊은 메시지를 전한다.

 

나가는 말

 

행복한 왕자는 우리가 흔히 지나치는 삶의 이면을 조용히 비추는 거울이다. 눈부시게 빛나던 조각상과 작지만 따뜻한 마음을 지닌 제비는 세상의 기준으로는 버려질 존재였지만 하늘에서는 가장 귀한 존재로 받아들여진다.

 

이야기가 전하는 감동은 단순한 동화적 환상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 깊은 곳에 잠들어 있는 연민, 사랑, 그리고 진실한 나눔의 가치를 일깨운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겉모습이 아니라 자신을 내어주는 사랑 속에 있으며 참된 행복은 소유가 아닌 희생과 나눔 속에 존재한다는 것. 그것이 오스카 와일드가 이 이야기를 오늘 우리에게 남긴 조용한 선물이다.

 

https://link.coupang.com/a/cnVf2U

 

성주 당도선별 미니참외, 2kg(8~12입), 1봉 - 참외 | 쿠팡

현재 별점 4.5점, 리뷰 122363개를 가진 성주 당도선별 미니참외, 2kg(8~12입), 1봉!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참외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선함의 가치 #무관심한 사회 #영원한 보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