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력10 [비타민 교육 38] '유형별 학습'에 사고력 갇힐 수 있다. '유형별 학습'에 사고력 갇힐 수 있다.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대다수의 아이들은 무슨 과목이든지 유형별로 공부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러한 방식은 문제의 유형을 빠르게 파악하고, 머릿속에 저장된 해법을 즉각 떠올려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아이들은 시험 문제를 받자마자 먼저 자신의 직관을 이용해서 각각의 문제가 어떤 유형의 문제인지를 파악하는 데 신경을 쓴다. 문제의 유형을 파악한 다음에는 유형별로 어떻게 풀 것인지 미리 정리해 놓은 해법들을 머릿속에 떠올린다. 이렇게 문제에 맞는 풀이법이 머릿속에서 검색되고 나면 마지막으로 그 방법을 활용해서 문제를 푼다. 유형별 학습은 문제 해결 시간을 절약하는 효율성을 갖추고 있으며 시험 시간에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어려운 수학에서 이런 .. 2024. 7. 11. [비타민 교육 32] 아이의 나쁜 버릇, 잔소리 대신 질문으로 고쳐라. 아이의 나쁜 버릇, 잔소리 대신 질문으로 고쳐라.들어가는 말 아이를 키우다 보면 부모의 눈에는 아이의 부족한 점과 잘못된 습관들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그중에서도 아이의 잘못된 습관은 반복해서 나타나기에 반드시 잡아주고 싶은 것이 엄마의 마음이다. 특히 공부와 관련된 나쁜 습관들은 엄마에게 큰 걱정거리다. 예를 들면, 아이가 책을 좀 제대로 읽었으면 좋겠는데 건성으로 대충 읽고 마는 버릇, 수학 연산을 하면서 부주의해서 계속 같은 실수를 하는 버릇, 책상에 진득하게 앉아서 공부했으면 하는데 한시도 앉아 있지 못하는 버릇 등은 엄마가 보기에 참 못마땅한 습관들이다. 공부와 관련된 이러한 습관들은 아이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엄마는 한시라도 빨리 고쳐주고 싶어 한다. 엄마는 아이의 나쁜 습관이.. 2024. 7. 5. [비타민 교육 31] 엄마의 기다림이 가장 좋은 교육법이다. 엄마의 기다림이 가장 좋은 교육법이다.들어가는 말 많은 엄마들은 자기 아이를 다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그런 생각 때문에 오히려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지 못할 수 있다. 물론 엄마가 낳고, 키웠으니까 그럴 만도 하다. 그러나 바로 거기에 함정이 있다. 엄마는 자신이 낳은 자식이기 때문에 엄마의 욕심에 가려서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지 못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엄마가 좌뇌적 성향이고 아이가 우뇌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보면, 좌뇌 엄마가 볼 때 우뇌 아이는 그야말로 허점 투성이다. 아이는 게으르고 무질서하며 충동적이고, 책임감도 없고 아무 생각이 없어 보인다. 또 무엇을 하든지 진지하게 계획해서 하는 일이 없고 즉흥적으로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경우 엄마들은 아이를 있.. 2024. 7. 4. [비타민 교육 30] 강한 우뇌형은 사고력 향상이 성공 열쇠다. 강한 우뇌형은 사고력 향상이 성공 열쇠다.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아이들은 대부분 우뇌형이다. 하지만 우뇌 아이라고 해도 다 같지 않다. 이 아이들은 좌뇌 지수에 따라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다. 완전 우뇌, 강한 우뇌, 이과적 성향의 우뇌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좌뇌 지수가 8점 정도 되는 아이들이 강한 우뇌형이다. 이 아이들은 수학은 좋아하지만 과학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물론 머리 회전이 빨라 어릴 적부터 영특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언어 능력도 탁월하며 초등학교 때는 모든 과목을 다 잘해 주위로부터 많은 부러움을 받는다. 그러나 정작 엄마는 아이가 어려운 문제를 회피하고, 사고력이 부족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떨어질까 걱정한다. 아이의 공부에 대한 불안감을 떨칠 수가 없다. 어려운 문제만 나.. 2024. 7.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