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뇌6

[비타민 교육 26] 어렵다고 넘어갈 땐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라. 어렵다고 넘어갈 땐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라. 들어가는 말 아이들이 무슨 문제가 나오든 척 봐서 조금만 어렵다 싶으면 그냥 별표를 치고 넘어가는 아이들이 있다. 붙들어 놓고 다시 풀라면 풀 수 있는데도 말이다. 이는 단순한 게으름이나 태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이들이 이러한 행동을 보이는 데는 그들 나름의 이유와 두뇌 작동 방식이 존재한다. 원래 타고나기를 생각하기 싫어하는 우뇌 유형의 아이들이다. 그러다 보니 그냥 척 봐서 아는 문제는 풀지만 좀 복잡하다 싶으면 별표 치고 넘어간 것이다. 이런 아이들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여기서 별표는 자기로서는 도저히 풀 수 없다는 의사표시다. 아이가 별표를 두 번 친 것은 다시는 풀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면 .. 2024. 6. 29.
[비타민 교육 22] 우뇌 아이 키우는 입학사정관제 우뇌 아이 키우는 입학사정관제들어가는 말 현재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은 좌뇌 아이들에게 유리하게 작동하고 있다. 아이의 성적을 평가하는 거의 모든 시험이 해답을 찾는 형태의 문제로 구성된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선천적으로 답을 잘 찾을 수 있는 두뇌 메커니즘을 가진 좌뇌 아이가 좋은 성적을 얻을 수밖에 없었다. 시험 중심의 교육 방식은 답을 찾는 능력이 뛰어난 좌뇌 아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며 이는 우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좌뇌 아이는 순차적 사고(sequential thinking)가 뛰어나 수능 같은 큰 시험에서 변별력이 높은 새로운 유형의 문제나 복잡한 문제가 나오면 이를 단계적으로 처리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 시험에서 어떤 문제를 주더라도 답을 찾을 .. 2024. 6. 25.
[비타민 교육 18.] 밥 먹으면서 책 보는 아이 혼내지 마세요. 밥 먹으면서 책 보는 아이 혼내지 마세요.들어가는 말 엄마는 아이가 밥을 먹으면서 책을 보는 경우를 종종 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엄마들은 아이에게 밥을 먹을 때는 밥만 먹으라고 타이른다. 그러나 엄마가 생각을 바꿔야 한다. 아이가 밥을 먹으면서 책은 보는 것은 나쁜 습관이 아니므로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좋다. 사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은 21세기가 요구하는 중요한 인재상 중 하나다. 이렇게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멀티 플레이어가 21세기 4차 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이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는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헬스를 하면서 신문과 텔레비전을 보기도 한다. 따라서 아이가 다양한 일을 동시.. 2024. 6. 21.
[비타민 교육 16.] 우뇌 아이, 경시대회 들러리 되는 까닭은? 우뇌 아이, 경시대회 들러리 되는 까닭은?들어가는 말 아이들마다 선호하는 과목과 학습 방식은 다르다. 특히 우뇌 유형의 아이들 중에는 수학보다는 과학을 더 좋아하고 실험과 관찰, 그리고 직접 만지며 조작하는 것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보통 얼굴이 희고 지적으로 생겨 영리하게 보이며 실제로도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한두 가지를 제외하고는 공부에 큰 욕심이 없고 싫어하는 일은 피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호불호가 분명해 자기가 싫어하는 일은 죽어도 하지 않으려 하며 고집은 세고 행동은 좀 게으른 편에 속한다.  이 아이들은 4~5살 때부터 과학자가 되는 꿈을 꾸는 경우가 많다. 초등학교 때는 영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의 혜택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초등학교 고학년.. 2024.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