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서 논술과 창의력] 성취감은 ‘행복한 중독’… 일단 맛보게 하라.

by 이삭44 2023. 11. 1.
728x90

성취감은 행복한 중독일단 맛보게 하라.

1. 엄마의 소망과 아이의 비젼.

비젼

자녀가 앞으로 어떻게 살았으면 좋겠어요?” 라고 엄마들에게 물어보니 신기할 정도로 대답이 유사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자기 분야에서 자신만의 전문성을 가지고, 많은 사람으로부터 존경을 받으면서, 행복하게 살았으면 좋겠어요.” 자녀를 둔 엄마의 모성 본능이 만들어 낸 최고의 대답이라고 생각된다. 우리 아이가 그렇게만 살 수 있다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았다고 자부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엄마는 자녀들이 건강하게 자라나서 좋은 배우자를 만나 좋은 가정을 이루고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엄마들은 아이들이 무엇보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사는 것을 원한다. 누군가 시켜서 억지로 해야 한다면 그거야말로 불행한 삶의 시작이 아닐 수 없다. 좋아하는 일이란, 자신의 두뇌 적성에 맞는 일을 하며 사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녀를 위한 엄마 아빠의 역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엄마는 아이가 행복하게, 자기가 원하는 일을 하면서 살아가기를 원한다면 먼저 아이의 뇌 성향에 맞는 일을 찾아주는 것이 성공적인 자녀 교육의 첫걸음임을 알아야 한다.

2.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열정을 쏟아라.

불타는 열정

국어사전에 열정이란, ‘어떤 일에 열렬한 애정을 가지고 열중하는 마음이라 했다. 열정을 가져라. 자기가 사랑하는 것을 하라.” 미국의 방송 앵커 케이티 커릭Katherine Anne "Katie" Couric(1957-)2007년 윌리엄스 칼리지 졸업 연설에서 한 말이다.

오프라 윈프리Oprah Gail Winfrey(1954-)2008년 스탠퍼드 대학에서 만일 여러분이 진정 자기의 열정을 좇기 전에 먼저 그 열정부터 찾아야 한다.” 했다.

엄마는 아이가 원하는 열정부터 찾아야 한다. 아이의 열정 찾기는 순식간에 이뤄질 수도 있으며 평생이 걸릴 수도 있다. 피카소와 아인슈타인, 모차르트는 다섯 살 때 이미 자기 인생의 열정이 각각 그림과 과학과 음악임을 알아차렸다.

인간에게 있어서 열정이란, 성공을 향한 문이며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열망이다. 그리고 그 열정에는 노력이라는 불쏘시개가 필요하다. 그뿐만 아니라 독한 마음이 필요하다.

그 열정은 독한 마음이 뒷받침되어야 진가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동기부여도 필수 조건이다.
자신이 좋아서 하는 그 일에 열정을 가지고 하다 보면 일정한 시점에서 질적 비약이 일어난다. 다른 사람과는 차별화되는 자신만의 전문성을 가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자신이 하는 그 일이 먹고살기 위한 직업적인 것이 아니라 그 일에 부름을 받았다는 일종의 소명(Calling) 의식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3. 소명으로 승화하라.

부르심

소명초월적 끌림(transcendent summons)’을 바탕으로 하며 자신이 맡은 역할에 대한 목적과 의미를 행동으로 실천하고 새롭게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타인을 돕고자 하는 가치와 목표를 중요한 동기로 삼는 것이다. 소명(calling)이란, 원래 기독교적 용어이다. 하나님으로부터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을 하라고 부름을 받았다(called)는 의미로 목사, 전도자 등의 기독교적 활동과 관련된 용어이다. 최근엔 그 의미가 광범위하게 확대되어 기독교가 아니더라도 자신이 하는 일에 소명의식을 갖게 되었다. 처음에 소명은 신의 부름인 외적인 부름이었으나 지금은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고 나는 이런 일을 해야겠구나 하는 내적인 요구(inner voice)를 따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자기 일에 열정을 쏟아 일하다 보면 내가 이 일에 왜 부름을 받았는지를 생각하는 소명의 단계에 자동적으로 진입하게 된다.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자신만이 아니라 이 사회와 인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한다는 것이다. 소명이 사명, 즉 미션(mission)으로까지 승화되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이러한 미션이 있는 사람을 위대하게 생각하고 존경한다.

미션을 가진 사람들은 어떤 보상을 바라면서 그 일을 할까? 부와 명예 같은 외적 보상이 아니라 내적 보상, 즉 감정적 보상 때문에 그 일을 하게 된다. 미션을 수행하면 내면 깊숙한 곳으로부터 감당하기 힘든 기쁨이 넘쳐나고, 진정한 행복감이 온몸을 휘감는다. 한번 이 맛을 보면 뇌는 계속해서 그 맛을 보기를 원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중독성이 다시 자신이 하는 일에 재미와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선순환으로 이어질 때 여러분의 자녀는 엄마가 원하는, 아니 자기 자신이 바라는 작게는 자기 자신이면서 더 나아가서는 사회와 국가와 인류를 향한 위업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것을 우리는 성공적인 삶이라 부른다.

 

#성취력 #행복한 중독 ##엄마 #비젼 ##뇌 성향 #두뇌 검사 #미션 #열정 #마음 #독한 마음 #승화 #성취 #행복 #중독 #성공 #보상 #수행 #선순환 #소명 #부르심 #기독교 #하나님 ##목사 #전도자 #초월적 끌림 #동기부여 #위대함 #노력 #소망 #부름

유페이퍼 :: hyoung44 페이퍼 (upape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