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3

[비타민 교육 23] 첫째를 둘째처럼 키우는 엄마의 지혜 첫째를 둘째처럼 키우는 엄마의 지혜들어가는 말 한 초등학교 학부모 모임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한다. 나이가 좀 들어 보이는 어떤 엄마가 좀 늦게 나타나 뒷줄에 따로 앉아 있었다. 다들 뒤를 힐끗 쳐다보며 수근 거렸다. 바로 그때 한 엄마가 다른 엄마에게 귓속말로 속삭였다. "저 엄마, 전교 1등 엄마야!"라고 말이다. 그 말 한마디에 갑자기 분위기는 180도 반전됐다. 나중에 한 엄마의 고백에 따르면 그 일등 엄마의 머리 뒤쪽에 후광이 비치더라는 것이다.그다음 상황은 안 봐도 뻔하다. 모임이 끝나자마자 다들 그 엄마 쪽으로 몰려가 아이 수학은 어디 보내고, 영어는 어디가 좋은지 캐묻기에 여념이 없었을 것이다. 물론 좀 과장된 측면이 없진 않겠지만 그래도 아이 키우는 엄마로서는 흔히 접할 수 있는 지극히 현.. 2024. 6. 26.
[비타민 교육 22] 우뇌 아이 키우는 입학사정관제 우뇌 아이 키우는 입학사정관제들어가는 말 현재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은 좌뇌 아이들에게 유리하게 작동하고 있다. 아이의 성적을 평가하는 거의 모든 시험이 해답을 찾는 형태의 문제로 구성된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선천적으로 답을 잘 찾을 수 있는 두뇌 메커니즘을 가진 좌뇌 아이가 좋은 성적을 얻을 수밖에 없었다. 시험 중심의 교육 방식은 답을 찾는 능력이 뛰어난 좌뇌 아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며 이는 우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좌뇌 아이는 순차적 사고(sequential thinking)가 뛰어나 수능 같은 큰 시험에서 변별력이 높은 새로운 유형의 문제나 복잡한 문제가 나오면 이를 단계적으로 처리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 시험에서 어떤 문제를 주더라도 답을 찾을 .. 2024. 6. 25.
[비타민 교육 21] 어떤 엄마가 가장 좋은 엄마일까? 어떤 엄마가 가장 좋은 엄마일까?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엄마들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이의 특성을 잘 파악한 후 그 특성에 맞게 교육하는 ‘현명한 엄마’, 아이를 잘 알지만 일 때문에 제대로 신경을 써주지 못해 늘 미안해하는 ‘죄 많은 엄마’, 아이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무작정 열심히 시키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막가파 엄마’, 아이에게 관심을 두지도 않고 신경도 안 쓰는 ‘엄마 아닌 엄마’가 그것이다. 그러면 이들 중 어떤 엄마가 가장 좋은 엄마일까? 순서를 매긴다면 당연히 현명한 엄마가 제일 좋고, 그다음이 죄 많은 엄마, 다음이 엄마 아닌 엄마, 마지막이 막가파 엄마이다. 각 유형의 엄마들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과 교육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을 돕는 데.. 2024. 6. 24.
[비타민 교육 20.] '카더라'식 교육법이 아이의 두뇌를 망칠 수 있다. '카더라'식 교육법이 아이의 두뇌를 망칠 수 있다.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의 자녀 교육열은 단연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우리 교육 현장만큼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 판을 치고 있는 곳도 없을 것이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든지 나름대로의 자녀 교육에 대한 소신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교육을 놓고는 누구나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이다. 수많은 교육 방법이 난무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사정이 이렇다 보니 엄마 한둘만 모여도 어김없이 나오는 이야기가 누구는 이렇게 저렇게 해서 어디를 갔다더라는 것이다. 즉 '카더라'식 정보가 큰 위력을 발휘한다. 주위의 아이가 좋은 성과를 얻으면 다른 부모들은 그 방법을 따라 하려 한다. 실제로 주위에 아는 엄마가 아이를 어디 좋은 대.. 2024.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