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뇌파2

[비타민 교육 29] 생각하는 과정으로 두뇌 유형을 알 수 있다. 생각하는 과정으로 두뇌 유형을 알 수 있다. 들어가는 말 최근 학부모들 사이에서 좌우뇌 검사가 하나의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병원, 한의원, 심리센터, 학원 등 여러 기관들이 뇌파로부터 유전자 그리고 IQ 검사까지 동원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의 머리가 좌뇌인지 우뇌인지의 두뇌 성향을 판별한다. 문제는 어떤 기관에서는 아이를 좌뇌라고 하고 또 다른 기관에서는 우뇌라고 하는데 각 검사기관마다 다른 결과를 제시하여 부모들은 혼란스러워한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 왜 검사하는 기관들마다 다른 판단이 내려지는 것일까? 그것은 사람의 두뇌는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검사 도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다. 뇌파검사를 할 경우 현재.. 2024. 7. 2.
[독서 논술, 고전 읽기]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다.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다. "장자(莊子)"는 중국의 고대 철학자 중 하나로, 그의 이름을 따서 "장자(莊子)"라 불린다. 장자는 무속적인 철학인 ‘도가’(道가)를 중심으로 한 무소유 주의적 사상을 전하였다. 그의 주요 저작인 "장자(莊子)"는 동명의 작자에 의해 쓰인 테마가 강한 철학서이다. 1. 중국 고전, 장자의 '장자’ 장자는 노자(老子)와 함께 도가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도(道)는 '길'이나 '방법'을 나타내며, 도가주의는 이 도에 따라 삶을 살아가는 무소유주의적인 철학을 의미한다. 장자는 특히 자연의 변화와 조화, 인간의 본질 등을 통해 도가주의를 전개하였다. 매번 해고됐던 불평쟁이, 소심쟁이, 뺀질이, 셋은 불만과 걱정, 그리고 잔꾀가 처음에는 아무 쓸모 없어.. 2023.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