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중력 키우기3

[비타민 교육 14.] 뻔히 아는 문제를 왜 틀리는 걸까? 뻔히 아는 문제를 왜 틀리는 걸까?들어가는 말 수능 시험 날, 수험생을 둔 평범한 가정은 긴장과 기대 속에 하루를 보낸다. 시험이 끝나고 교문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아이들의 모습 속에서 환하게 웃는 자신의 아이를 보는 순간, 엄마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아이를 힘껏 끌어안는다. 그간의 마음고생에 울컥해진다. "아이고, 내 새끼! 배고프지?" "그래, 밥 먹으러 가자!" 좋은 분위기는 여기까지다. 집으로 돌아와서 채점을 시작하면서 아이의 얼굴이 일그러지기 시작한다. 실수로 인해 정답이라고 생각했던 문제가 틀리자 아이는 실망하고 고개를 떨어뜨린다. 엄마도 속이 상한다. 이러한 상황은 많은 가정에서 공감할 수 있는 현실이다. 어릴 때는 쉽게 백 점을 맞았던 아이가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점 실수를 많이 하게 되면.. 2024. 6. 17.
[비타민 교육 13.] 나쁜 읽기 습관이 오답 만든다. 나쁜 읽기 습관이 오답 만든다.들어가는 말 엄마가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견디기 어려운 것 중 하나가 학년이 올라가면서 아이의 성적이 조금씩 떨어지는 것을 지켜보는 일이다. 어릴 때 그렇게 영특했던 아이가 어느새 집안의 근심거리로 변해가는 현실은 정말이지 엄마로서 참기 어려운 일이다. 아이 머리가 나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이가 성실하지 않은 것도 아닌데 학년이 올라가면서 아이 성적이 생각만큼 나오지 않는다면 도대체 그 원인이 무엇일까? 대개는 어릴 때 자리 잡은 나쁜 읽기 습관이 바로 문제의 근원일 가능성이 아주 크다. 지금 당장 아이의 읽기 습관을 체크해 보라. 한 번 읽기 습관이 잘못 길들여지면 두고두고 아이의 공부 발목을 잡을 수 있으니까.그렇다면 나쁜 읽기 습관이란 무엇일까?인간의 두뇌는 보통 .. 2024. 6. 16.
[비타민 교육 12.] 산만한 아이 집중력 키우는 법? 과학 책 읽기 산만한 아이 집중력 키우는 법? 과학 책 읽기들어가는 말 옆에서 아이를 끼고 가르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한숨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잠시도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를 가르치노라면 정말이지 인내의 한계를 느낀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나아지기라도 하면 괜찮을 텐데 그런 조짐조차 보이지 않을 때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처럼 산만한 아이의 집중력을 근본적으로 높이고, 창의성까지 좋아지게 하는 방법이 하나 있다. 그것이 바로 과학 책 읽기다. 문제는 우뇌 성향이 강한 아이의 경우 수학은 좋아할 수 있어도 과학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초등학교 저학년일 때 그림이 들어간 과학 책이나 만화라도 빨리 접하게 하는 것이 좋다. 고학년이 되면 이미 두뇌 성향이 굳어져 과학 책 읽기 자.. 2024.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