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65

남보다 빨리 ‘잘’ 실패하는 것이 成功의 비밀 남보다 빨리 ‘잘’ 실패하는 것이 成功의 비밀 1. 두뇌 학습 학습이란, 어떻게 가능할까? 수학적 모델을 통해 뇌 기능을 이해하려는 계산뇌과학적 방법은 ‘경험과 오차’ 위주라고 가설한다. 처음 영어로 ‘사과=apple’을 학습한다고 생각해 보자. 알아들을 수 없는 말로 옹알거리는 학생에게 선생님이 ‘apple’이라고 가르쳐 준다. 같은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다 보면 발음은 점점 더 정확해져 ‘epel’→‘apel’→‘apple’ 같은 식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두뇌 안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2. 신경세포 두뇌 안의 모든 정보와 지식은 신경세포 간의 연결성(synapse)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시냅스의 유연성이 높은 어린 시절(=결정적 시기)에는 경험을 기반으로 자주 쓰는 신경세포.. 2023. 9. 26.
머리 바깥의 벽, 머리 안의 벽 머리 바깥의 벽, 머리 안의 벽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나 이유 없이 인간을 잡아먹는 거인들을 피하기 위해 살아남은 사람들은 높은 벽을 짓고 100년 동안 숨어 산다. 바다에서 나타난 외계 괴물들을 막기 위해 인간은 전 세계 해변을 거대한 벽으로 둘러쌓기 시작한다. 신종 전염병에 걸려 식인 좀비로 변한 인간들을 건강한 사람들은 높은 벽으로 막으려 한다. 1. 벽 과거 주목받고 있는 일본 만화 ‘진격의 거인’ 그리고 할리우드 영화 ‘퍼시픽 림’과 ‘월드 워 Z’의 스토리들이다. 내용과 배경은 다르지만 하나의 교집합이 있다. 바로 인간들이 두려워하는 그 무언가를 막기 위해 높은 벽을 쌓는다는 내용이다. 문제 그 자체를 해결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기에 벽을 쌓고 문제를 외면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인간의 두뇌는 보이.. 2023. 9. 25.
기억 이식과 영생? 기억 이식과 영생? 1. 기억 이식 며칠전 일런 머스크는 인간 두뇌에 칩 이식할 대상자를 공개 모집했다. 십 수년 전 MIT 대학의 스스무 도네가와(Susumu Tonegawa) 교수팀도 기억을 조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논란이 되었다. 일런은 환자들을 상대로 하는 것이고 MIT 연구팀은 일반적인 실험이다. MIT 팀의 실험은 단순하다. 우선 광유전자(optogenetics)라는 방법을 통해 실험동물 해마에 있는 신경세포들을 특정 파장 빛에 반응하게 조작한다. 해마는 기억을 만들어내는 기능을 구현하며, 특히 과거에 경험했던 공간에 대한 기억이 저장되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실험 동물에게 평범한 첫 번째 방을 경험하게 한 뒤 두 번째 방에서 전기 자극을 받게 한다. 당연히 동물에게 두 번째 .. 2023. 9. 24.
두뇌와 협상의 달인이 되는 법 두뇌와 협상의 달인이 되는 법 1. 협상과 흥정 중동 카타르에 있는 전통시장 사람들은 협상을 즐긴다. 우리 돈으로 몇 만원 정도 하는 기념품을 사고 바로 가게에서 나가려 하면 주인 안색이 변한다. 주인은 왜 자기랑 가격 흥정을 하지 않느냐며 불쾌해 한다. 그의 논리는 대략 이렇다. 흥정하지 않는다는 건 결국 처음부터 자신의 물건 가격이 너무 싸거나, 아니면 이 외국인 눈엔 자기하고 이성적인 협상이 불가능해 보인다는 뜻으로 이해한다. 가격 흥정하길 즐기고 자존심 강한 아랍인 가게 주인에게 두가지 모두 별로 기분 좋을 리 없다. 판매자와 구매자가 수요와 공급을 통해 가장 적절한 가격을 찾아간다는 게 시장경제의 기본원리다. 하지만 사회 전체의 수요와 공급의 절댓값을 알 수 없는 대부분 상황에선 협상을 통해 가.. 2023.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