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71 뇌파를 통한 원예치료 뇌파를 통한 원예치료 1. 뇌파 원예치료 아직 국내에는 생소한 치료법인 원예치료. 원예치료는 식물 기르기와 같은 활동과 꽃꽂이, 분재, 식물로 소품 만들기 등 식물을 응용한 활동을 모두 포함한 원예 활동을 통해 심신이 허약해진 인간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치료법이다. 원예치료는 치매 노인들을 치료하는 데는 매우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원예치료는 단순하고 간단하다. 인간은 일에 지치면 집중력이 떨어지는데, 에너지는 몸에 쌓여 분출할 곳이 없으면 신경마저 날카로워진다. 원예활동은 식물을 기르면서 심리적인 안정과 행동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실제로 원예치료사들이 발표한 기사에 의하면 최근에 자신들이 행하고 있는 원예치료의 효과를 장시간 동안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실험 후 총 7가지의 평가 기준 중에서 4가.. 2023. 10. 14. 뇌파로 다른 사람을 내 생각대로 움직이는데 성공 뇌파로 다른 사람을 내 생각대로 움직이는데 성공 1. 美 워싱턴대 연구진… 뇌파를 자기장 신호로 바꾼 뒤 인터넷 통해 원격조정 “초보 골퍼가 타이거 우즈의 뇌에 저장된 스윙 노하우를 자신의 뇌로 다운로드 받는다. 바로 우즈의 호쾌한 스윙이 나온다”. 상상 속에나 가능할 것 같은 일이 현실로 다가왔다. 2013년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은 “한 사람의 생각을 인터넷을 통해 다른 곳에 있는 사람의 뇌에 전달해 손가락을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 했다”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사람의 생각으로 로봇팔이나 다른 동물을 움직인 적은 있지만, 사람 사이에 생각을 전달한 것은 워싱턴대가 처음이다. 워싱턴대 컴퓨터 전공 라제시 라오(Rao) 교수는 뇌파(腦波)를 포착하는 두건을 쓰고 컴퓨터 게임을 했다. 화면의 목표물에 대포를 .. 2023. 10. 13. 뇌파를 읽어 졸음 운전자 깨우는 첨단 모자 스마트캡 뇌파를 읽어 졸음 운전자 깨우는 첨단 모자 스마트캡 1. 뇌파로 졸음운전 방지하는 스마트 캡 운전자의 뇌파를 읽어 피로도를 측정하는 ‘스마트 캡’이라는 모자는 호주의 광산업 연구 업체인 CRC 마이닝의 연구원이 개발한 것으로, 광산에서 일하는 대형 트럭 운전자를 위해 2009년에 만들어졌다. 평범한 야구모자처럼 생긴 이 모자에는 뇌파를 읽을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데, 운전자의 뇌파를 이용해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다. 운전자가 졸음에 빠질 위험에 처하면, 이 센서가 모자에 장착된 모니터에 메시지를 보내 휴식을 취하라는 경고가 번쩍이게 한다. ‘스마트 캡’이라 명명된 이 모자는 실제로 광산에서 일하는 운전자들이 착용했는데, 회사 측은 현재는 광산에서만 사용하는데 앞으론 스마트 캡을 일반 판매용 제품으.. 2023. 10. 12. 뇌파(생각)로 성큼성큼… 입는 ‘로봇 시대’ 뇌파(생각)로 성큼성큼… 입는 ‘로봇 시대’ 유럽 연구진은 10년 전 어깨 근육의 전류와 뇌파 이용하여 움직이는 로봇 실험에 성공 했다. 美,日에서도 입는 로봇 상용화를 시작했다. 연간 10만명이 발생하는 뇌졸중 환자를 위해 한국도 10년 전부터 개발을 시작했다. 이미 10년 전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됐던 이탈리아 청년 안토니오 메릴로가 다시 걷기 시작했다. 발에 감각이 돌아온 것이 아니다. 생각만으로 움직이는 로봇 다리 덕분이다. 메릴로가 걷겠다고 생각하면 뇌파(腦波)가 전기신호로 바뀌어 로봇 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것. 메릴로 같은 척수 손상 환자는 영국에서만 8시간에 한 명꼴로 늘고 있다. 이들에게 보행의 자유를 돌려주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1. 뇌파·근육 신호로 .. 2023. 10. 11. 이전 1 ···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