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마”가 없으면 기억도 없다.

by 이삭44 2023. 9. 21.
728x90

해마가 없으면 기억도 없다.

1. 인간의 기억

바쁜 일상생활을 사는 우리는 대부분 바로 이틀 전 점심으로 무엇을 먹었는지조차 기억하기 어렵다. 그런가 하면 수십 년 동안 불러보지 않았던 어릴 적 만화영화 주제가는 너무나 정확히 기억나서 우리를 당황하게 하기도 한다. 도대체 기억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2. 기억과 알츠하이머

우리가 알츠하이머 치매를 두려워하는 건 기억을 잃는 순간, 지금 건강한 나 자신이 더는 아닐 거라는 두려움 때문이다. 치매에 걸리면 우리는 기억을 잃고, 어쩌면 ''라는 존재를 단 한 번 잃을 뿐이다. 그런데 나라는 존재를 날마다 새로 잃은 사람이 있었다. 헨리 몰래슨(Henry Gustav Molaison·1926~2008·H.M.이라고 불림)이라는 사람은 간질을 앓기는 했지만, 그저 한 평범한 미국 젊은이였다. 27세 되던 해, 그는 의사의 조언을 따라 간질을 일으키는 뇌 부위로 생각되는 부분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기로 결심했다. 수술 뇌 부위는 내측두엽이었고 해마라는 부위도 포함하고 있었다.

3. 수술로 알게 된 뜻밖의 결과

H.M의 뇌

당시 H.M., 의사도 알지 못했던 사실은 해마 없이는 새로운 기억이 생겨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해마는 경험이 머리에서 '장기기억'으로 변하는 위치라고 볼 수 있다. 해마가 사라진 이후, 그는 수술 전에 있었던 일들은 완벽하고 명확하게 기억했지만 수술 이후의 삶에서 새로운 기억을 만들 수는 없었다. H.M.은 수술 후부터 사망할 때까지 50여년의 삶 동안 매일 아침 일어날 때마다 자신에게 그 전날 일어났던 일을 기억하지 못했고, 자신이 왜 병원에 있는지도 알지 못했다. 의사의 설명을 듣곤 슬퍼했지만, 금방 다시 잊어버리며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났느냐"고 되묻곤 하는 날들이 날마다 계속됐다.

H.M.에게 ''라는 존재는 어떤 의미였을까? 그에게 과거란 무엇이고, 미래란 무엇이었을까?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5분마다 자신의 삶을 타인을 통해 매번 새로 인식해야 했던 H.M.에겐 아마도 ''라는 단어 자체가 무의미했을 수도 있다.

4. 1,500그램의 뇌

인간의 뇌를 난생처음 접하는 의대생들의 표정은, 그 흥분한듯한 마음은 어떨까? 나도 한번 보고 싶은데 기회가 없다. 인간의 뇌가 그다지 놀랍게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태어날 때 300그램에서 15세가 되면 1,300~1,500그램으로 뇌는 그저 다소 섬유질과 액체로 가득 찬 핏기 어린 무게의 묵직한 단백질 덩어리다. 뇌를 해부하고, 도려내고, 파헤쳐 보아도 그 안에는 기억도, 영상도, 소리도 없다. 뇌를 소우주라고 부르는 그 신비함의 비밀을 인간의 짧은 지식으로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까? 인간의 유한한 지식과 지혜로는 상상하기 어려운 문제다. 이렇게 신비로운 인간의 두뇌가 진화를 통하여 이루어졌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진화가 맞다면 보통의 사람들도 이미 아인슈타인 정도의 두뇌를 소유하지 않았을까? 인간은 진화가 아니라 신에 의해 창조된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자신을 창조하신 신께 대하여 더 경건하고 겸손하게 머리를 조아려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해마 #기억 ##300그램 #1500그램 #두뇌 무게 #단백질 덩어리 #핸리 몰래슨 #알츠하이머 #간질 #간질 #창조 #진화 ##두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