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뇌 훈련5

[비타민 교육 21] 어떤 엄마가 가장 좋은 엄마일까? 어떤 엄마가 가장 좋은 엄마일까?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엄마들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이의 특성을 잘 파악한 후 그 특성에 맞게 교육하는 ‘현명한 엄마’, 아이를 잘 알지만 일 때문에 제대로 신경을 써주지 못해 늘 미안해하는 ‘죄 많은 엄마’, 아이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무작정 열심히 시키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막가파 엄마’, 아이에게 관심을 두지도 않고 신경도 안 쓰는 ‘엄마 아닌 엄마’가 그것이다. 그러면 이들 중 어떤 엄마가 가장 좋은 엄마일까? 순서를 매긴다면 당연히 현명한 엄마가 제일 좋고, 그다음이 죄 많은 엄마, 다음이 엄마 아닌 엄마, 마지막이 막가파 엄마이다. 각 유형의 엄마들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과 교육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을 돕는 데.. 2024. 6. 24.
[비타민 교육 20.] '카더라'식 교육법이 아이의 두뇌를 망칠 수 있다. '카더라'식 교육법이 아이의 두뇌를 망칠 수 있다.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의 자녀 교육열은 단연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우리 교육 현장만큼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 판을 치고 있는 곳도 없을 것이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든지 나름대로의 자녀 교육에 대한 소신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교육을 놓고는 누구나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이다. 수많은 교육 방법이 난무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사정이 이렇다 보니 엄마 한둘만 모여도 어김없이 나오는 이야기가 누구는 이렇게 저렇게 해서 어디를 갔다더라는 것이다. 즉 '카더라'식 정보가 큰 위력을 발휘한다. 주위의 아이가 좋은 성과를 얻으면 다른 부모들은 그 방법을 따라 하려 한다. 실제로 주위에 아는 엄마가 아이를 어디 좋은 대.. 2024. 6. 23.
[비타민 교육 19.] 아이들은 좌뇌 '쓰는' 훈련해야 창의성이 커진다. 아이들은 좌뇌 '쓰는' 훈련해야 창의성이 커진다. 들어가는 말 많은 교육 전문가들조차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 교육이 수학 위주의 좌뇌 중심 교육이어서 아이들의 창의성이 죽어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무리한 좌뇌 교육은 아이의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다. 그러나 정말로 아이의 창의성을 없애는 원인은 따로 있다. 좌뇌 교육을 많이 시켜서가 아니라, 우뇌 성향의 아이가 우뇌의 감으로 수학을 하기 때문이다. 우뇌 성향의 아이에게는 아무리 수학을 많이 시켜도 좌뇌가 계발되지 않고 오히려 우뇌의 창의성만 죽일 뿐이다. 지금까지는 수학과 같은 좌뇌 교육을 많이 시키면 아이의 좌뇌가 계발되는 줄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이다. 교육전문가들도 대부분 그렇게 알고 있었으니 보통의 부모들이야 오죽하겠는가? 수학이.. 2024. 6. 22.
[비타민 교육 18.] 밥 먹으면서 책 보는 아이 혼내지 마세요. 밥 먹으면서 책 보는 아이 혼내지 마세요.들어가는 말 엄마는 아이가 밥을 먹으면서 책을 보는 경우를 종종 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엄마들은 아이에게 밥을 먹을 때는 밥만 먹으라고 타이른다. 그러나 엄마가 생각을 바꿔야 한다. 아이가 밥을 먹으면서 책은 보는 것은 나쁜 습관이 아니므로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좋다. 사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은 21세기가 요구하는 중요한 인재상 중 하나다. 이렇게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멀티 플레이어가 21세기 4차 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이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는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헬스를 하면서 신문과 텔레비전을 보기도 한다. 따라서 아이가 다양한 일을 동시.. 2024.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