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논술108

[독서 논술, 인문 철학] “순전한 기독교”(Mere Christianity), 클리브 스테이플스 루이스(Clive Staples Lewis - C.S. Lewis) “순전한 기독교”(Mere Christianity), 클리브 스테이플스 루이스(Clive Staples Lewis - C.S. Lewis) "To be a Christian means to forgive the inexcusable because God has forgiven the inexcusable in you."(당신의 적을 사랑하라는 것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도저히 사랑할 수 없는 사람까지도 사랑하시며, 우리가 그 사랑을 따라가길 원하십니다.)C.S. 루이스(C.S. Lewis)의 "순전한 기독교" (Mere Christianity)는 기독교 변증학의 고전으로 루이스가 1940년대에 BBC 라디오 방송에서 행한 강의를 바탕으로 집필된 책이다. 이 책은 기독.. 2024. 5. 28.
[독서 논술, 인문 철학] 기독교 현상학(The Phenomenon of Spirit in the New Testament),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기독교 현상학(The Phenomenon of Spirit in the New Testament),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Faith is not assent to doctrines but a mode of existence in which we entrust ourselves entirely to God."(신앙은 교리에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온전히 하나님께 맡기는 존재 방식이다.)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은 20세기 초반에 활동한 독일의 신학자이며 신약성경 해석에 있어서 상징적이고 신화적인 요소들을 제거하는 '신화 해체' 방법론으로 유명하다. 불트만이 주로 연구한 분야는 신약 성경 해석 특히 요한복음과 바울 서신에 대한 해석이었으며 그의 저서 중.. 2024. 5. 27.
[독서 논술, 인문 철학]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존 칼빈(John Calvin)-제2부-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존 칼빈(John Calvin)  “모든 참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은 순종에서 태어난다.”(All true knowledge of God is born out of obedience.)4. 테마 존 칼빈의 "기독교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는 기독교 신앙과 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다룬 저작이다. 이 책은 기독교 신앙의 본질과 핵심 교리를 설명하며 개혁 신학의 기초를 놓는 역할을 했다.  1. 하나님의 주권과 영광 1) 하나님의 주권칼빈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을 강조했다. 하나님은 모든 만물의 창조자이자.. 2024. 5. 26.
[독서 논술, 인문 철학]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존 칼빈(John Calvin)-제1부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존 칼빈(John Calvin)  “모든 참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은 순종에서 태어난다.”(All true knowledge of God is born out of obedience.) "We are nowhere taught that God decreed Adam should perish by his fall, as if the destruction of mankind were his delight. What is said is, that man was left to fall, because God saw it was expedient. The decree.. 2024.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