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의적 인재24

[비타민 교육 50] ‘우뇌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면… ‘우뇌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면…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엄마들이 자녀 교육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상식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가 수학을 잘하면 좌뇌 아이, 수학을 못하면 우뇌 아이로 판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순화는 대다수 엄마들의 머릿속에 거의 공식처럼 도식화되어 있다. 그러나 사실 아이의 두뇌를 판단하는 것이 엄마의 생각처럼 그렇게 단순하지는 않다. 수학을 잘하거나 싫어하는 것만으로 아이가 좌뇌 성향인지 우뇌 성향인지 판단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잘못된 진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실제로 우뇌 아이도 수학을 좋아할 수 있다. 특히 머리가 좋은 우뇌 아이는 수학을 아주 좋아한다. 이 경우 대다수 엄마들은 이 아이를 좌뇌 아이라고 생각한다. 반면 좌뇌 아이 가운데서도 수학을 싫어하는 .. 2024. 7. 23.
[비타민 교육 44] 성적이 들쑥날쑥하는 아이 공부 분위기부터 잡아줘야. 성적이 들쑥날쑥하는 아이 공부 분위기부터 잡아줘야. 들어가는 말  시험을 앞둔 자녀를 두고 엄마들은 거의 같은 불만을 털어놓는다. 머리는 좋은 것 같은데 노력을 안 한다는 것이다. 아이가 시험공부를 좀 한다 싶으면 거의 만점이 나오지만 조금만 공부를 안 하면 성적이 바닥을 친다. 그렇다면 시험 때 엄마가 어떻게 해주어야 할까? 이렇게 성적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아이들은 감이 좋다. 그래서 무엇이든지 감으로만 하려고 한다. 감이 오면 기가 막히게 잘한다. 평소에 못하는 것도 쉽게 해낸다. 그러다가 감이 떨어지면 평소에 잘하는 것도 갑자기 헤매기 시작한다. 그러다 보니 특히 중간고사나 학기말 시험 때 아이의 컨디션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엄마는 자녀의 컨디션을 최상으로 유지하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2024. 7. 17.
[비타민 교육 26] 어렵다고 넘어갈 땐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라. 어렵다고 넘어갈 땐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라. 들어가는 말 아이들이 무슨 문제가 나오든 척 봐서 조금만 어렵다 싶으면 그냥 별표를 치고 넘어가는 아이들이 있다. 붙들어 놓고 다시 풀라면 풀 수 있는데도 말이다. 이는 단순한 게으름이나 태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이들이 이러한 행동을 보이는 데는 그들 나름의 이유와 두뇌 작동 방식이 존재한다. 원래 타고나기를 생각하기 싫어하는 우뇌 유형의 아이들이다. 그러다 보니 그냥 척 봐서 아는 문제는 풀지만 좀 복잡하다 싶으면 별표 치고 넘어간 것이다. 이런 아이들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여기서 별표는 자기로서는 도저히 풀 수 없다는 의사표시다. 아이가 별표를 두 번 친 것은 다시는 풀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면 .. 2024. 6. 29.
[비타민 교육 11.] 아이의 성공을 바란다면 '끈기'를 길러줘라. 아이의 성공을 바란다면 '끈기'를 길러줘라.들어가는 말 부모가 되어 자녀에게 좋은 유전자와 많은 유산을 물려주는 것을 바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싫어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자녀가 진정으로 잘되고 성공하기를 원한다면, 물려주어야 할 것은 좋은 유전자나 많은 물질적 유산이 아니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자녀에게 끈기라는 정신적 유산을 물려주는 것이다. 우리나라 아이들의 상당수는 우뇌형이라서 끈기가 부족하고, 조금만 어려워도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부모가 자녀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이러한 끈기를 키워주는 일이다.먼저 아이에게 생각의 끈기를 키워주어야 한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손쉬운 방법 가운데 하나가 수학 책을 거꾸로 풀어가는 것이다. 끈기를 키우려면 단원별로.. 2024.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