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82 [독서 논술과 창의력] 수학 성적이 오르지 않는 아이... ‘읽기’와 ‘이해력’ 사고 때문일 수도...??? 수학 성적이 오르지 않는 아이... ‘읽기’와 ‘이해력’ 사고 때문일 수도...??? 아이의 수학 성적이 고민? 수학 공부에 필요한 4가지 영역을 점검해 보라. 1. 수학 지식 개념을 비롯해 수학의 내용을 기본적으로 잘 알아야 한다. 또 어느 정도 문제에 익숙할 필요도 있다. 우리나라 수학 교육은 이 부분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문제의 유형에 익숙해지라고 계속 문제를 풀게 한다. 중학교 때까지는 이러한 훈련이 효과를 보기도 한다. 그러나 고등학교에 들어가서는 새로운 유형의 문제에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1) 기초 산수 및 대수학 사칙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및 순서 규칙에 대한 이해 대수학 개념, 변수와 식의 이해 방정식과 부등식 해결 능력 2) 기하학 기본 .. 2023. 11. 14. [독서 논술과 창의력] 자녀를 위대한 인물로 키우고 싶다면, 고전을 읽게 하라. 자녀를 위대한 인물로 키우고 싶다면, 고전을 읽게 하라. 1. 창의적 인재란? 요즘 어느 분야든 창의성을 빼고는 말이 되지 않는 세상이 됐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자녀를 창의성 없는 평범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는 엄마가 있을까? 아이를 평범하게 키우겠다고 맘먹는 엄마는 없을지 몰라도 실제로 그렇게 키우는 엄마는 의외로 많다. 왜 그런 엄마가 많을까? 아이를 쉽게 키우려고 해서 그런 것일까? 아니면 몰라서? 그것도 아니라면 귀찮아서, 너무 힘들어서? 일지도 모른다. 자녀를 보통 아이로 키우는 교육은 편하고 쉽다. 그냥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어느 정도 검증된 것 같은, 다른 사람들이 다 하는 교육을 하는 것이 차라리 안정된 선택이라고까지 생각한다. 아이 교육을 놓고 괜히 혼자서 다른 길을 가.. 2023. 11. 13. 두뇌를 알면 내 아이 미래가 보인다. 두뇌를 알면 내 아이 미래가 보인다. 1. 유아기 뇌의 발달 과정 뇌의 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진다. 뇌는 왕성한 발달 기회가 있으며 이러한 왕성한 발달 기회는 뇌 부위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뉴런의 생성과 이동이 완료되고 시냅스가 발달할 무렵이면 수초화도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수초화는 대략 임신 12주부터 출생 후 1년 사이에 시작되어 2세 때에 최고조에 달하고 그 이후에도 느린 속도로 계속 진행된다. 그런데 전두엽과 두정엽의 연합 영역과 뇌량의 수초화가 가장 늦게 이루어져 10대 중반 혹은 그 이후까지도 계속된다. 때문에 뇌 발달 시기에 맞는 학습은 뇌의 조화로운 발달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뇌 발달의 시기 뇌의 좌우 양반구의 발달 시기를 살펴보면 그 시기가 다소 다르다. Hann.. 2023. 11. 12. [독서 논술과 창의력] 실수가 잦은 아이, 뇌 성향부터 파악하라. 실수가 잦은 아이, 뇌 성향부터 파악하라. 1. 아이들의 두뇌 밸런스 아이들은 한마디로 가능성 그 자체이다. 부모는 아이의 숨겨진 잠재력을 파악하고, 그 가능성을 현실 속에서 실현시켜 주어야 한다. 먼저 아이의 타고난 뇌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왜냐하면 잠재력이 아무리 좋아도 아이의 뇌가 불균형하다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먼저 쓴 글들에서 여러 번 강조하였지만 뇌의 발란스가 중요하다. 2. 좌뇌형 아이 좌뇌 아이들은 외부의 대상을 바라보는 뇌의 눈, 즉 뇌의 렌즈가 상대적으로 작다. 뇌의 렌즈가 작으면 디테일에는 강하지만 대상의 전체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나무는 잘 보지만 숲을 잘 보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좌뇌형은 분위기 파악을 잘 못하는 것이 가장 큰 약점이.. 2023. 11. 11. 이전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