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23 [비타민 교육 30] 강한 우뇌형은 사고력 향상이 성공 열쇠다. 강한 우뇌형은 사고력 향상이 성공 열쇠다.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아이들은 대부분 우뇌형이다. 하지만 우뇌 아이라고 해도 다 같지 않다. 이 아이들은 좌뇌 지수에 따라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다. 완전 우뇌, 강한 우뇌, 이과적 성향의 우뇌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좌뇌 지수가 8점 정도 되는 아이들이 강한 우뇌형이다. 이 아이들은 수학은 좋아하지만 과학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물론 머리 회전이 빨라 어릴 적부터 영특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언어 능력도 탁월하며 초등학교 때는 모든 과목을 다 잘해 주위로부터 많은 부러움을 받는다. 그러나 정작 엄마는 아이가 어려운 문제를 회피하고, 사고력이 부족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떨어질까 걱정한다. 아이의 공부에 대한 불안감을 떨칠 수가 없다. 어려운 문제만 나.. 2024. 7. 3. [비타민 교육 27] ‘간접 칭찬’은 아이를 춤추게 한다. ‘간접 칭찬’은 아이를 춤추게 한다.들어가는 말 우뇌가 발달한 머리 좋은 아이들 가운데에는 욕심 없고 고집 세며, 자신이 싫어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으려는 아이들이 많다. 이들은 자존심도 강하고 새로운 도전은 무엇이든지 굉장히 힘들어한다. 이러한 성격은 타고난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만들어진 경우가 더 많다. 특히, 조기 수학교육과 과도한 선행학습이 이들의 자신감을 꺾고 방어적인 태도를 강화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부모는 아이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려는 시도를 넘어서 아이가 잘하는 것을 격려하고 자신감을 키우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분명 우뇌형 아이들인데 왜 성격이 왜 이렇게 굳어진 것일까? 수만 명의 아이들을 조사해 본 결과 결정적 원인은 우뇌 아이들에게 수학을, 그것도 조기.. 2024. 6. 30. [비타민 교육 22] 우뇌 아이 키우는 입학사정관제 우뇌 아이 키우는 입학사정관제들어가는 말 현재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은 좌뇌 아이들에게 유리하게 작동하고 있다. 아이의 성적을 평가하는 거의 모든 시험이 해답을 찾는 형태의 문제로 구성된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선천적으로 답을 잘 찾을 수 있는 두뇌 메커니즘을 가진 좌뇌 아이가 좋은 성적을 얻을 수밖에 없었다. 시험 중심의 교육 방식은 답을 찾는 능력이 뛰어난 좌뇌 아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며 이는 우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좌뇌 아이는 순차적 사고(sequential thinking)가 뛰어나 수능 같은 큰 시험에서 변별력이 높은 새로운 유형의 문제나 복잡한 문제가 나오면 이를 단계적으로 처리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 시험에서 어떤 문제를 주더라도 답을 찾을 .. 2024. 6. 25. [비타민 교육 18.] 밥 먹으면서 책 보는 아이 혼내지 마세요. 밥 먹으면서 책 보는 아이 혼내지 마세요.들어가는 말 엄마는 아이가 밥을 먹으면서 책을 보는 경우를 종종 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엄마들은 아이에게 밥을 먹을 때는 밥만 먹으라고 타이른다. 그러나 엄마가 생각을 바꿔야 한다. 아이가 밥을 먹으면서 책은 보는 것은 나쁜 습관이 아니므로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좋다. 사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은 21세기가 요구하는 중요한 인재상 중 하나다. 이렇게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멀티 플레이어가 21세기 4차 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이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는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헬스를 하면서 신문과 텔레비전을 보기도 한다. 따라서 아이가 다양한 일을 동시.. 2024. 6. 21.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