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23 [비타민 교육 57] 수학, 감으로 푸는 우뇌 아이, 언어 이해력까지 떨어진다. 수학, 감으로 푸는 우뇌 아이, 언어 이해력까지 떨어진다. 들어가는 말 우리 주위에는 수학 공부를 감으로 하는 아이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 아이들은 하나같이 두뇌 회전이 빠르고 이해력이 좋다. 무엇이든 가르쳐 주기만 하면 금방 이해하고 또 스펀지처럼 잘 받아들인다. 그래서 엄마나 선생님도 이 아이들은 머리가 매우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공부를 잘하리라 기대한다. 그러나 결과는 그렇지가 않다. 이러한 아이들은 깊이 생각하지 않고 단지 가르쳐 준 내용을 빠르게 받아들이기만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배우지 않은 문제나, 새로운 유형의 문제에 취약하고 실수를 많이 하게 된다. 고학년인 중·고등학교에 올라갈수록 성적이 떨어지는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이 아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다음과 .. 2024. 7. 30. [비타민 교육 50] ‘우뇌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면… ‘우뇌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면…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엄마들이 자녀 교육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상식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가 수학을 잘하면 좌뇌 아이, 수학을 못하면 우뇌 아이로 판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순화는 대다수 엄마들의 머릿속에 거의 공식처럼 도식화되어 있다. 그러나 사실 아이의 두뇌를 판단하는 것이 엄마의 생각처럼 그렇게 단순하지는 않다. 수학을 잘하거나 싫어하는 것만으로 아이가 좌뇌 성향인지 우뇌 성향인지 판단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잘못된 진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실제로 우뇌 아이도 수학을 좋아할 수 있다. 특히 머리가 좋은 우뇌 아이는 수학을 아주 좋아한다. 이 경우 대다수 엄마들은 이 아이를 좌뇌 아이라고 생각한다. 반면 좌뇌 아이 가운데서도 수학을 싫어하는 .. 2024. 7. 23. [비타민 교육 49] 무리한 좌뇌 교육 ‘우뇌형’ 아이들 시름 무리한 좌뇌 교육 ‘우뇌형’ 아이들 시름들어가는 말많은 교육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교육이 수학과 같은 좌뇌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아이들의 창의성을 저해한다고 지적한다.물론 무리한 좌뇌 교육이 아이의 창의성을 죽이기도 한다. 그러나 정말로 아이의 창의성을 죽이는 원인은 따로 있다. 그것은 좌뇌 교육을 많이 시켜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아이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뇌 성향의 아이들이 우뇌로 수학을 하기 때문이다. 우뇌 성향의 아이들에게는 아무리 수학을 많이 시켜도 좌뇌가 잘 계발되지 않는다. 오히려 우뇌의 창의성만 죽일 뿐이다. 지금까지는 아이들을 좌우뇌 아이들로 구분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수학과 같은 좌뇌 교육을 많이 시키면 아이의 좌뇌가 계발되는 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교육전문가들도 그렇게 알고 있.. 2024. 7. 22. [비타민 교육 31] 엄마의 기다림이 가장 좋은 교육법이다. 엄마의 기다림이 가장 좋은 교육법이다.들어가는 말 많은 엄마들은 자기 아이를 다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그런 생각 때문에 오히려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지 못할 수 있다. 물론 엄마가 낳고, 키웠으니까 그럴 만도 하다. 그러나 바로 거기에 함정이 있다. 엄마는 자신이 낳은 자식이기 때문에 엄마의 욕심에 가려서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지 못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엄마가 좌뇌적 성향이고 아이가 우뇌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보면, 좌뇌 엄마가 볼 때 우뇌 아이는 그야말로 허점 투성이다. 아이는 게으르고 무질서하며 충동적이고, 책임감도 없고 아무 생각이 없어 보인다. 또 무엇을 하든지 진지하게 계획해서 하는 일이 없고 즉흥적으로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경우 엄마들은 아이를 있.. 2024. 7. 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