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타민 교육27

[비타민 교육 26] 어렵다고 넘어갈 땐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라. 어렵다고 넘어갈 땐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라. 들어가는 말 아이들이 무슨 문제가 나오든 척 봐서 조금만 어렵다 싶으면 그냥 별표를 치고 넘어가는 아이들이 있다. 붙들어 놓고 다시 풀라면 풀 수 있는데도 말이다. 이는 단순한 게으름이나 태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이들이 이러한 행동을 보이는 데는 그들 나름의 이유와 두뇌 작동 방식이 존재한다. 원래 타고나기를 생각하기 싫어하는 우뇌 유형의 아이들이다. 그러다 보니 그냥 척 봐서 아는 문제는 풀지만 좀 복잡하다 싶으면 별표 치고 넘어간 것이다. 이런 아이들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여기서 별표는 자기로서는 도저히 풀 수 없다는 의사표시다. 아이가 별표를 두 번 친 것은 다시는 풀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면 .. 2024. 6. 29.
[비타민 교육 25] 산만한 우뇌 아이, 혼자 해결하도록 놔둬야 산만한 우뇌 아이, 혼자 해결하도록 놔둬야 들어가는 말 많은 엄마들은 자기 아이의 산만함을 예사롭지 않게 바라본다. 학년이 올라가면 좀 나아지겠지? 생각하면서도 내심 불안감을 떨칠 수가 없을 것이다. 사실 엄마들이 고민하는 것은 지금 아이의 산만함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해서 산만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아이의 산만함은 두뇌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을 보인다. 아이가 좌뇌 아이냐, 우뇌 아이냐에 따라 산만함의 원인과 성격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난다. 여기서는 좌뇌 아이와 우뇌 아이의 산만함의 특성과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살펴보겠다.좌뇌 아이의 산만함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경우가 많다. 책 읽기를 좋아하며, 수학, 과학을 유난히 좋아하는 아이, 어떻게 보면 바보처럼 보이다가 또 어떨 때는 아주 비범해 .. 2024. 6. 28.
[비타민 교육 24] 생각을 싫어하는 우뇌 아이, 프로젝트 수업이 도움 된다. 생각을 싫어하는 우뇌 아이, 프로젝트 수업이 도움 된다.들어가는 말 특히 우뇌 유형의 아이들 중에는 수학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이는 중학교에 접어들면서 극에 달한다. 왜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다. 우뇌 성향이 강한 아이들 중에서도 유별나게 우뇌 성향이 더 강한 아이들이 있다. 이 아이들은 수학, 과학을 싫어하며, 대신에 좌뇌 유형의 언어 감각은 탁월하다. 특히 만들기나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며 춤추고 노래하기를 즐긴다. 무대 체질이라 불릴 만큼 다분히 끼가 있는 아이들이다. 이 아이들은 좌뇌보다는 우뇌를 주로 사용한다. 좌뇌 지수로는 21점 만점 기준에 3점 정도 되는 완전 우뇌 아이들이다. 이들은 거의 좌뇌를 쓰지 않는 아이들이다.. 2024. 6. 27.
[비타민 교육 23] 첫째를 둘째처럼 키우는 엄마의 지혜 첫째를 둘째처럼 키우는 엄마의 지혜들어가는 말 한 초등학교 학부모 모임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한다. 나이가 좀 들어 보이는 어떤 엄마가 좀 늦게 나타나 뒷줄에 따로 앉아 있었다. 다들 뒤를 힐끗 쳐다보며 수근 거렸다. 바로 그때 한 엄마가 다른 엄마에게 귓속말로 속삭였다. "저 엄마, 전교 1등 엄마야!"라고 말이다. 그 말 한마디에 갑자기 분위기는 180도 반전됐다. 나중에 한 엄마의 고백에 따르면 그 일등 엄마의 머리 뒤쪽에 후광이 비치더라는 것이다.그다음 상황은 안 봐도 뻔하다. 모임이 끝나자마자 다들 그 엄마 쪽으로 몰려가 아이 수학은 어디 보내고, 영어는 어디가 좋은지 캐묻기에 여념이 없었을 것이다. 물론 좀 과장된 측면이 없진 않겠지만 그래도 아이 키우는 엄마로서는 흔히 접할 수 있는 지극히 현.. 2024. 6. 26.